뉴스 / / 2023. 2. 2. 23:53

비염 더 이상 아프지 않게 관리하는 방법

반응형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 중에 약 25%가 비염 환자라고 합니다. 약 1200만명 정도 되는 수치인데요. 이 글을 쓰고 있는 저 역시도 비염 환자입니다. 날씨가 풀리거나 바뀔때 정말 비염이 심해지는데요. 저는 뇌 조양 제거수술을 코로했기때문에 비염이 원래도 안좋았지만 더 악화 되는 바람에 비염에 관련되서 공부하다가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제가 비염치료를 하면서 도움이 되었던 것을 위주로 소개해드려고해요. 비염이셨던 분들도 증상이 악화되지 않으셨으면 하는 마음에 포스팅합니다.


왜 우리나라에 비염 환자들이 많을까요?

이 부분에서는 체질과 연관이 있어보입니다. 코를 주관하는 장기가 바로 폐라고 봅니다. 폐가 약하게 되면 코에도 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지요. 한국한의학 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의 약 50%정도가 태음인의 체질이라고 합니다.

태음인 : 상대적으로 간의 기운은 좋고 폐의 기운이 약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

간의 기운이 높고 폐의 기운이 약하다라고 말씀드렸는데요. 간의 기운의 기준이나 폐의 기운의 기준이 있어서 하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동양의학의 가장 기본원리는 상대성이라고 합니다! 간의 기운에 비해서 폐의 기운이 약하다는 상대적 비교를 나타내는 이야기입니다. 단순하게 폐활량이라던지 알코올 분해 능력 등등으로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비염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

첫번째, 구조적인 원인
1. 비중격 만곡증이 있는데요. 코 좌우를 나누어주는 가운데 막인 비중격이 비뚤어지게 되거나 굽어지게 되면서 비염이 발생한다는 원리이죠.
2.하비갑개 비대해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쉽게 풀어서 말씀드리면 코 내부인 비강에 있는 비갑개가 상,중,하로 나누어져 있는데 아래쪽 콧살이 붙거나 비대해진 상태
3.비뱅브가 좁아진 경우가 있습니다. 코 뿌리 쪽에 떠받치고 있는 코 평수 부위가 밑으로 내려 앉아 좁아지게 되면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4.콧속의 물혹 또는 종양등으로 비염 증상의 원인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두번째, 기능적인 원인

기능적인 원인들로는 알레르기성비염, 혈관운동성비염, 약물성비염, 호르몬성비염, 감염성비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이제 내가 비염인지 안닌지 알아낼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코를 자주비빈다..
2.코를 킁킁거린다.
3.코를 훌쩍거린다.
4.콧물 재채기 등 감기 증상은 있지만 발열, 통증은 없다.
5.감기가 잘 낫지 않는다.
6.입을 벌리고 숨을 쉰다.
7.코피를 자주 흘린다.
8.잘 때 코를 곤다.
9. 코 주변이나 밑이 푸르스름하다.
10.아침 저녁에 기침을 많이 한다.
11.콧물 코 막힘이 2주 이상 지속된다.

이 11가지 항목중에서 여러분은 몇개의 항목에 해당되시나요?
3개 이상 : 비염 시작
5개 이상 : 비염 진행
8개 이상 : 심각한 비염

비염은 수술을 해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리를 잘하고 잘 유지하는게 정말 중요합니다.


비염관리법

비염에 좋은 코 세척법

제가 실제로 쓰고 있는 모델이며 광고 절대 아닙니다

코에서 분비되는 분비물과 세균을 제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코 막힘과 후비루를 감소시키고 비강 스프레이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약효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비강스프레이라고 하면 코 안에 칙 뿌리는 약물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코 세척을 하려면 여러 가지 준비할 것들이 있는데요. 약국에 가시게 되면 코세척하는 거 하나 달라고 하면 줍니다. 거기에 쓰는 방법이나 모르신다면 약국의 의사분들께 사용방법을 알려달라고 하면 친절히 알려주실거에요. 저도 지금 이걸 코세척기를 사용중인데 하루 아침에 한번 정도 해주시면 하루 종일 정말 편안하게 코막힘 없이 하루를 보낼 수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 코세척하는 방법 정말 강력 추천합니다.

코세척 주의사항
1.목으로 넘어가지 않게 입으로 숨쉬기 (숨을 참거나 아~소리 내는 것도 방법)
2. 한 쪽 코 세척이 끝나면 반대쪽도 하기
3.하루에 세번씩 양치 후 하는 것 권장 (어렵다면 저녁 취침들기 전 한 번은 꼭!)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