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3. 2. 3. 13:40

당신이 성공못하는 이유? 이것때문이라고?

반응형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을 성공한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차이점을 전혀 모르면서 성공만을 바라고 살아가죠. 오늘을 그런 사람들이 알지 못해서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이런 습관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알여주려고 합니다.  

 

간혹 가다가 보면 좀 많은 사람들이 그러는 경우가 많은데 이분법적 사고방식의 패턴에 빠져 있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는데요. 쉽게 말하자면 중간이 없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괏값이 무조건 둘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미국 심리학회(APA)에 따르면 양극화된 사고(All or nothing)라고 하는 데요.

 

이분법적 사고라고도 하고 흔히 말해 흑백논리라고도 자주 불리는 이 논리는 중간에 있는 가능성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는 사고방식인데요. 이러한 사고방식은 때로 식이장애, 우울증, 불안뿐만 아니라 나르시시즘이나 경계선 인격 장애와 같은 성격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건강하지 못한 대처 메커니즘

정신과전문의 아니샤 파텔 던 박사는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은 매우 개인적이고 각자 살아온 독특한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면서 “양극화된 사고는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처 메커니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파텔 던 박사는 “흑백 논리적 사고는 종종 정신 건강 상태, 트라우마 또는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학습된 습관”이라며 “건강하지 못한 대처법이 그렇듯이, 스트레스에 반응해 반복적으로 의지하는 습관이 되면 패턴을 만들기 시작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굳어진 이분법적 사고는 불안과 우울 장애의 원인이 도인기 때문에 고쳐야 합니다. 연구에 의하면 이는 특정 음식을 좋거나 나쁘다고 생각할 수 있는 섭식장애, 자기애적 또는 경계선 성격 장애의 특징이라고 말했는데요

 

흑백논리 사고방식은 인간관계 또는 성공할 수 있는 능력 등 삶의 다른 측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문상담가 크리스토퍼 한센 박사는 “지나치게 경직되고 비현실적 사고방식은 전반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면서 “인지적 왜곡이 심한 사람들은 사회와 소통하는 데 매우 어려움을 겪지만, 진단을 받지 않기 때문에 치료받는 경우도 드물다”라고 덧붙였습니다.

 

흑백논리 사고방식의 징후

자신이 다음과 같은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면 흑백논리 사고를 가진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항상
절대로
완전히
형편없는
좋다
나쁘다

모든 사람들은 가끔 이런 말을 한다. 하지만 이런 절대적인 단어가 생각과 대화에서 자주 등장한다면 자신을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이콜로지 투데이’에 따르면, 또 다른 징후는 삶이나 상황을 바라볼 때 완벽 혹은 결함투성이라고 합니다.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은 모든 인간관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이 됩니다. 하지만 흑백논리에 사로잡히게 되면 갈등이나 문제적 상황을 다룰 때 문제가 생긴다. 한센

 

파텔 던 박사는 “이러한 사고방식은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는 능력을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거나, 갑작스러운 사안에 부적절하게 반응하거나 과잉 반응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고 이로 인해 직장을 그만두거나, 연인관계를 끝내거나, 또는 한때 친구였던 사람을 갑자기 나쁜 사람으로 보기 시작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성공을 가로막는 이유

이분법적 사고는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정말 적절하지 못한 대처 전략입니다. 이는 정신적 웰빙에 타격을 줄 수 있다. 파텔 던 박사는 “정신적으로 좋은 기분을 느끼지 못하면 삶을 만끽하거나 좋아하는 것을 즐기는 일이 힘들 수 있다”라고 말했고

 

자신이 특정한 일을 잘한다거나 못한다는 등 스스로에 대해서도 제한적 혹은 양극화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 목표를 성취하는 능력을 방해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이다.

 

연구에 의하면 흑백논리적 사고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 의해 추진되고, 종종 감정적 고통을 유발하는 완벽주의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분법적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과 능력도 경직된 방식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직장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지요.

 

동료들은 이분법적 사고를 하는 사람을 ‘팀 플레이어가 아니다’며 부정적 시선으로 보거나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왜곡된 생각을 바꾸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이런 사고방식에 빠져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부정적 생각을 보다 현실적이고 건강한 생각으로 대체하는 법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